이번 강의가 드디어 12시제의 마지막 날입니다. 굉장히 중요한 내용이 많구요. 그만큼 우리가 많이 못쓰는 이유가 나옵니다. 저도 사실 완료형 문장을 더 많이 써야 한다는 사실을 이 강의를 통해 많이 알았고 실제로 단순과거보다 완료형이 많이 쓰인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

 

 

마지막이니 만큼 지긋지긋하더라도 마지막으로 딱 한번만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영어는 모두 몇 개의 시간 개념을 가지나요?

   - 12시제

 

2) 12개의 시간 개념은 분사의 사용에 따라 몇 개로 나누어지나요?

   - 2 개 (~ed, ~ing)

 

3) 두 분사가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무슨 의미를 가질까요?

   (1) ed : 완료형 '~당한',  (2) ing : 진행 '~하는'

 

4) 과거분사인 완료형이 쓰인 시제는 무엇이 있는가요?

   - 현재완료, 미래완료, 과거완료

 

5) 현재분사인 진행형이 쓰이는 시제는 무엇이 있을까요?

   - 현재진행, 미래진행, 과거진행

 

6) 과거분사와 현재분사를 같이 쓰는 시제는 무엇이 있을까요?

  - 현재완료진행, 미래완료진행, 과거완료진행

 

7) 이외에 시제는 무엇이 있나요?

  - 단순현재, 단순미래, 단순과거

 

8) 전체 시제 중 제일 복잡한 시제는?

  - 미래완료진행

 

입니다. 정말 완전 외워질 지경입니다. 그런데 사실 조금 애매한건 해석이 좀더 구체적으로 어떻게 쓰이는지를 명확하게 구사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물론 이건 문장화하면서 체화시켜야겠죠.

 

 

 

 

오늘 마지막 강의인 만큼 have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혼동하기 쉬운 문장을 정리합니다.  저도 정말 헷갈렸던 겁니다. 세 가지 이야기할 텐데요. 저는 특히 두번째가 잘안되더라구요. 물론 첫번째와 세번째 이야기도 잘 알지 못하지만요.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이야기가 길어질테니 단디 맘 묵으세요.

 

 

※ 첫번째. 시제 미스테이크 - have, have gotten, have, got은 같은 의미라고????

 

 a. I have got many candys.

 b. I have gotten many candys.

 c. I have many candy.

같은 시제는 어떤걸가요? a와 c죠. 지난 조동사에서 영국에서 have를 너무 많이 사용함에 따라 변형을 줬다는 내용기억 나시죠???? 다시 상기도할겸  have에 대해 알아볼게요.

 

I have to go (스피킹 O, 라이팅 O)

= I have got to go (스피킹 O, 라이팅 X) : have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

= I've got to go

= I gotta go (발음)

= I gotta go  (스피킹 O, 라이팅 X)

 

예졔 1

  - I have some news. (일반적인 형식)

  - I have got some news. (스피킹 형식)

  - I got some news. (캐주얼 형식)

 

예제 2

  - I have to go. (일반적인 형식)

  - I have got to go. (스피킹 형식)

  - I got to go. (캐주얼 형식)

  - I gotta go. (캐주얼 형식)

 

이 됩니다. 저희 지난 조동사에 몇개 했다고 그나마 덜 헷갈리네요. 사실 예전에 패턴에  gotta 가 나와서 그 내막을 잘 몰랐었는데 캐주얼 형식으로 쓰이는 걸 알게 됐습니다.

 

 

※ 두번째. 시제 미스테이크

 

'Fianally, spring came'

 

이 문장을 들었을 때 봄, 여름, 가을, 겨울 중 언제같아요? 저는 저는 봄이라고 생각했지만 시제가 틀렸던 것 같아요. 영어의 시각으로는 봄이 왔었으나 지금은 이미 끝난 상태여서 지금은 어떤 계절인지 모른다고 합니다. 즉, '일이 시작한 것은 과거가 맞고, 일이 끝난 것도 과거의 시점이 된다'고 합니다. 단순과거의 특징이죠. 과거의 일이고 과거에 끝나 지금가는 어떠한 연관성이 없다는 것이죠. 그런데 우리나라말은 했다고 하면 지금도 하는 것처럼 되기에 저희 나라와 서구문화의 차이에서 혼동이 온다고 합니다.

 

말로 하니까 좀 어렵죠. 문장을 볼께요.

 

예제 1.

 

- I studied English.

  영어 공부를 했었으나 지금도 하고 있는지는 모릅니다.

- A : When did you meet your girlfriend?

  B : I met my girlfried three years aog.

  이 내용의 경우 3년전에 만났으나 어느 과거 시점에 이미 끝난사이라고 이해한다고 합니다. 저희 같은 경우에는 지금도 만난다고 생각하는데 참 문화가 다르다는걸 느낍니다. 지금도 만나고 있을 경우에는 꼭 '현재완료'를 사용한다는 점 잊으면 안되겠죠.

 

그렇다면 다시 돌아와서 아까 문장을 다시 만들어 보면 이렇겠죠.

 

 'Filanally spring has coming'

 

이제 계절이 언제일까요? 바로 봄입니다. 영어의 시작에서 보면 현재가 봄이라는 의미가 됩니다. 따라서 현재완료형은 과거와 현재를 이어줄때 사용빈도수가 굉장히 높습니다.

 

I met my girlfriend - 과거에 만났으나 지금은 알 수 없다.

I've met my girlfriend - 과거부터 현재까지 만나고 있음을 알려준다.

 

여기서 두번째 이야기 정리.

 

영어는 과거를 바라보는 시각이 한국과 많이 다릅니다. 한국말의 과거는 거의 대부분 현재와의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영어에서는 과거는 시작도 과거이고, 끝난것도 과거이기 때문에 현재와 연결이 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두 시간대를 서로 내용상 연걸이 되어 있다고 말하고 싶은 때 완료형 사용해야 합니다. 과거에 있었던 일이 현재에도 영향을 준다면 현재완료형을 써야 하고 더 먼 과거에서 과거로의 연결을 할 때는 과거완료형을 사용 해야 합니다. 즉, 시제 완료형은 두 개의 서로 다른 시간대를 연결해 준다는 것 절대 잊으면 안됩니다. 한일 샘이 말씀하신 것처럼 지금보다 더 많이 써야 하고 더 많이 쓰면 쓸수록 맞을 확률이 더 많다고 합니다. 저도 단순과거 문장과 현재완료와 비교하는 문장을 보니 감이 확오네요. 절대 잊지 않겠죠.

※ 세번째 시제 미스테이크.

 

사실 이번 내용은 시제와 관련이 없는데요. 한일쌤이 말씀 하신 것처럼 하나의 강의로 놓기가 뭐하다고 해서 시제 마지막 시간에 넣어났다고 합니다.

 

'always'가 어느 시제에 놓느냐에 따라 긍정적으로 쓰이기도 하고 부정적으로 쓰인다고 하네여.

 

1. You always open the door in the morning. : aways = '항상'의 의미

   - 현재형에 always를 쓰면 긍정적인 어감을 준다고 합니다.

2. You are always opening the door in the morning. : always = '맨날'의 의미

   - 진행형에 always를 쓰게 되면 부정적인 어감(불평)을 전달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다시 예제를 보면,

 

- You always call me at the lunch time. (전화해줘서 고맙다는의미)

- You are always calling me at the lunch time. (상대방이 전화하는 것에 대한 불평을 전달하는 내용)

 

참 신기합니다. 또 한편으론 진행형일 때 해석을 하면 정말 불평하고 있는 듯한 늬앙스가 느껴집니다. 참 이런 것들을 잘 구사할 수 있다면 정말 정말 좋겠네요. 문법과는 상관없이 뭔가 쎈스가 돋보이는 문장들이 많죠. 저도 언젠간 기필코......

  

오늘의 포인트

 

1. I have some news.

  = I have got some news.

  = I got some news.

 

2. 두 개의 다른 시간대가 서로 내용상이 연결되어 있다고 말하고 싶을 땐 완료형을 사용해야 합니다. 그쵸?

 

3. 진행형에서 always는 맨날이라는 부정적인 어감을 전달하고 단순현재에 쓰일 때는 항상이라는 긍정적인 어감을 전달한다는 사실도 잊지 말아야겠죠.

 

이것으로 12시제의 대단원의 막을 내립니다. 갑사합니다.

 

Posted by 글작곡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