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시간에 이어 조동사에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따로 정리를 할까 고민하다가 다음 강의에 18개 조동사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고 또, 문장으로 만들어 각각의 조동사의 늬앙스를 알아보는 시간이 있습니다. 40~45강 진행할 때 각 강의마다 문장으로 정리해서 외울수 있도록 준비할게요. 100% 다 알면 좋겠지만 그래도 80~90% 정도는 기초 영문법을 체화할 수 있겠죠. 이 얘긴 정리하기전에 다시 언급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1. will VS would
1-1. 기본적인 개념 익히기
A. will
- 단순미래 : '~할 예정이다.'라고 이야기 하나 '~할 거야'가 적당해 보입니다.
I will open it
- 요구 : '~해 주시겠습니까?'
Will you please call me?
- 확신 : 90% (~할 것이다)
She will be here at 2.
다만, be going to > will : 계획적이고, 확신할때 씁니다.
B. Would
- 공손한 요구 (~ 해 주시겠습니까?)
Would you please answer the question?
- 확신 : 60~70% (~할 것이다)
He would do that for you.
- 숙어 : Would rather (차라리 ~ 하겠다)
I would rather watch a movie that read a book
1-2. 레벨 업.
1) 여러분이 다른 사람을 도와줄 능력이 있다고 합시다. 내가 다른 사람에게 당신을 소개 할 때 He will help you라고 말하는 것과 He would help you라고 말하는 것 중 어느 쪽이 더 부담이 갈까요?
→ He will help you. (90% 확신)
2) 우리가 도움을 받을 입장일 때는 어느 쪽이 더 나을까요?
→ He will help you. (90% 확신)
3) 내가 만약 소개하는 사람이라면 소개하는 사람을 위해서 어떻게 이야기 하는게 좋을까요?
→ He would help you
4) will과 would 중 어느 것을 많이 사용할 까요?
→ Will
※ would는 낯선사람, 처음만나는 사람, 또는 타인의 입장을 고려하는 사이에서 많이 사용하고 will은 일상생활에서 친하고 아는 사람을 많이 만나므로 편한 표현입니다.
2-1 Would VS Used to
A. Would
- 과거에 그런대로 규칙적인 행돈 (~하곤 했었다)
단, 약간은 불규칙적이다.
- used to 보다 짧은 기간에 일어나고 규칙적이지도 않다
B. Used to
- 과거에 규칙적인 행동 (~하곤 했었다)
- 습관적인 행동이었으며, 상당히 장기적으로 반복된 행동일 경우에 볼 수 있다.
※ ex)
- I would go to the bar to release my stress
→ 불규칙적으로 가끔 한 행동
- when I was college student, I used to go to the bar every weekend.
→ 습관적이고 규칙적인 행동
2-2 레벨 업.
1) 어느쪽이 과거에 선생님이었을까요?
- I woud be teacher. : 잠깐 일을 했음
- I used to be teacher. (O) : 장기간 / 반복적으로 일을 했음
2) 어느 쪽이 더 실력이 있나요?
- He would fix the car.
- He used to fix the car. (O)
3) 어느 쪽이 더 미련이 남아 있을까요?
- I would thnk about you. 가끔 생각했었다는 의미
- I used to think about you. (O) 내내 생각했었다는 의미
3-1 Be supposed to VS Be to
A. Be supposed to (이거 진짜 많이 사용하는데 전 거의 못씀)
- 가벼운 기대, 추축 (~하기 기대 당하다. 추측 당하다) : '~하기 바란다'는 의미가 더 맞는 것 같은데요. 약간 공공의 개념인 듯 합니다. 내가 하길 바라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이 하길 바란다는 의미입니다. 왜 우리가 공공장소에서 시끄럽게 굴면 어린 아이한테 '여기서 이렇게 시끄럽게 하면 안되는곳이에요.'라는 늬앙스입니다.
- 사용 빈도수 높다. : 그럴 것이 내가 하지말라고 하면 네가 뭔데라고 할 수 있지만, 이 Be supposed to 자신의 생각보다는 다수의 생각을 대신 말해 주는 것 같습니다.
- you are not supposed to sit here. (완곡한 표현 : 강의에서 여자가 한일샘에게 교수님 자리이기에 거기 앉지 않으면 안 될 것 같다는 말(자신은 상관없음)이죠.
- you are not supposed to talk loudly. (내가 하지 말라고 하기 보단 약간 돌려서 또는 대변해서 자신은 괜찮지만 다른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니 조용히 해달라는 완곡한 표현이다)
B. Be to : 대단히 강한 기대
- '~하기를 강하게 기대당한다.', '추측 당한다'
- 사용빈도 낮다 (계약이나 라이팅에 간혹 쓰인다)
2-1 레벨업
1) I am supposed to attend the meeting because my boss ( ) me.
2) I am to attend the meeting because my boss ( ) me.
→ 1)은 완곡한 표현이므로 asked가, 2)는 멸령의 수준으로 ordered가 들어간다.
※ 늬앙스 확인하기
a. 우리의 선생님이 you are to stayt and study라고 하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1. 못들은 척 한다. 2. 공부 끝내고도 못간다. 3. 공부하다가 갈 수 있다. 4. 공부 끝내고 간다.
b. Don't do that보다 부드러우면서 사당배앙에 어떻게 할 지 결정권을 줘서 서로의 감정이 다치지 않게 하고 자 할 때는 You are not supposed to do that. 이라고 말할 수 있다. (자신이 그렇게 하지 말라는 표현도 아니게 되겠죠)
c. 페르시아 공주가 왜 나에게 you are not supposed to sit there이라고 했을까요?
- Don't sit there이라고 말하면 자신의 입장을 직접적으로 얘기한 것이 되고, 그말로 인해 상대방이 방황하거나 감정을 다치게 하지 않을까 하여 완곡한 표현을 사용한 것이다. 내가 앉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에 의해 '~하기 바란다'의 의미이다. 즉, 자기는 괜찮은데(자기는 빠지고) 다른 이(교수)에 의해 않지 않는게 나을 것이라고 말해 제 2자의 의해 앉지 않길 바란다는 의미다.
참 어렵습니다.
3. Shall : ~제가 ~할 까요? 우리가 ~할까요? (어던 제안에 대해 상방의 의견을 물을 때 사용한다.
그러나 잘 사용하지 않는다. 저도 이거 Shall we dance? 라는 문장에서 한번 들었던 것 같네요.
이것으로 조동사 18개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Be supposed to는 정말 많이 사용되는데 제가 이 늬앙스를 전혀 몰랐는데요. 이번 강의를 통해서 그 늬앙스를 조금은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영어 훈련 > 한일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일기초영문법 33강 - 과거분사에 대한 한을 풉시다. (0) | 2018.08.20 |
---|---|
한일기초 영문법 32 - 조동사 현장에서 이런 감각으로 쓰세요. (0) | 2018.08.17 |
한일 기초영문법 30강 - 진짜 웃기는 be able to... (0) | 2018.08.11 |
[문장화 요망] 한일영문법 29강 - 진짜 재미있는 have to (0) | 2018.08.06 |
[약한부분]한일기초영문법 28강 - 뭘 도와줘, 조동사가 (0) | 2018.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