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부사절이 끝이 났습니다. 24강부터는 40강 쯤 나갈때 한번 다시 복습을 해야 할 것 같아요. 물론 문장화도 진행할 것이지만, 이해가 잘 되지 않으니 당연히 사용할 수 없는 것 같습니다. 오늘 28강도 사실 조동사의 뜻은 거의 다 알고 있지만, 늬앙스를 모르니까 사용하지 못하는 것 같아요. should를 많이 사용하고 had better는 사용하지 못했습니다. 오늘부터 조동사에 대해 진도를 나갑니다.

 

조동사는 동사 앞에 위치해서 동사의 상태를 더 세밀하게 설명해주거나 도와주는 동사라고 하죠. 조동사가 붙으면 일단 좋아지는 점 두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바로 3인칭 단수에 따른 s, es를 사용하 필요가 없습니다. 

둘째 시제에 따른 변화도 일반동사에서 조동사로 변화기 때문에 일반동사의 다양한 과거동사를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렇게 되니 당연히 조동사 + 동사원형이라는 공식이 나오게 되죠~  

 

 

[1] 조동사 뒤에는 일반도사는 항상 동사원형으로 온다.

 

[2] 조동사는 일반동사 앞에 온다.

 

[3] 조동사의 갯수가 한정적이기에 사용하기 편하다.

- may, might, should, ought to, have to, will, shall, can, would, used to, could, must, had better, be supposed to, be to, be able to, be going to, have got to

총 18가지입니다.(저에게 생소한게 ought to, shall, had better, be supposed to, be to, have got to 네요. 이러니 어렵게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4] 조동사를 쓰고나면 글의 레벨이 높아지고 내용이 자세해 집니다.

I may go → I might go → I should go I ought to go

I have to go I will go I shall go I can go

I would go I used to go I could go I must go

I had better go i am supposed to go I am to go

I am able to go I am going to 

I have got to go

 

[5] 조동사의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단어는 무엇인가? 일반동사

 

 

1-1 < May VS Might >

 

A. May

  1) 공손한 요구 (~해도 될까요?, ~할 수 있을까요?)

      May I borrow your pen for a while?

  2) 허락 (~해도 좋다)

      You may leave the office.

  3) 확인 : 50% (~일지 모른다)

      He may be at the library.

 

B. Might

  1) 공손한 요구 (~해도될까요?, ~할 수 있을까요?)

      Might I borrow your pen for a while

  2) 확신 : 20%정도 (~일지도 모른다)

      He might be at the library.

 

1-2 레벨업

 

확신을 확률로 나타날 때 가능성의 따라 다르게 사용한다.

 - He may come VS He might come.

may는 50%, might는 20%의 가능성이다 따라서 확률이 반절 정도 될때는 may, 5분의 1정도일 경우에는 might를 사용합니다.

 - You may be right. (맞을 확률 50%, 틀릴 확률 50%)

 - You might be right. (맞을 확률 20%, 틀릴 확률 80%)

 

※ 생활 가운데에서는 may를 더 많이 씁니다. might를 많이 쓰게 되면 확률이 낮은 말을 많이 한다는 의미니까요.(사실 이 말이 무슨말인지 이해는 되지 않지만, may를 더 많이 사용한다는 정도 이해해두고 나중에 문장이나 실생활 영어에서 점검해 봐야겠습니다.)

 

 

2-1 <should VS ought to>

 

 A. Should

    1) 충고 :  ~해야만 한다

        We should study today.

    2) 확신 : 90% 정도,  (~ 임에 틀림없다.)

       Jake should pass the test.

 B. Ought to

    1) 충고 : ~해야만 한다. (should보다 더 강한 충고)

       You ought to study today. 

    2) 확신 : 90%정도 (~임에 틀림없다.)

       Jake ought to pass the test.

 

2-2 레벨업

 

 - You should go there.

   이때 Should는 가벼운 친구사이나 상하 관계를 알 수 없을 때 사용한다.

 - You ought to go there.

   이때 ought to는가벼운 명령으로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사용하여 상하 관계를 알수 있다.

        

단, 지위가 낮은 사람이 지위가 높은 사람에게

 You ought to watch your temper라고 말했을 때는

 1. 아주 심각한 뉘앙스로 진언이나 가벼운 명령

 2. 심사숙고 한 후 한

 

※ should와 ought to 어느쪽이 생활 가운데 더 많이 사용하게 될까요?

   당근 should를 많이 사용됩니다.

 

여기서 잠깐@@@@@@ 영어를 잘하기 위한 tip~

 90% 이상의 들리고 80% 이상 따라 할 수 있는 영어 비디오 테이프를 반드시 소지하라고 합니다.

 영화 대본 하나를 완전히 듣고 따라할 수 있다면,

   - incredible experience~(기적같은 경험)을 할 수 있으며, 리스닝과 스피킹이 확 누는 경험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대본을 먼저 읽어 보고 영화를 보고 또, 대본을 읽어보고 영화를 보고를 반복하면 기적같은 경험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다만, 야하거나 폭력적인 장면은 제외하고 가족적이거나 디즈니사에서 만든 영화라면 okay 라고 하네요.~

저도 한일샘이 말씀 하신것처럼 30분동안 영어하지 않는다는 타잔으로 한번 도전해 봐야겠습니다. 타잔이 아니더라도 아주 쉬운 애니메이션으로 한번 도전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아보입니다.3-1 < had better >

 

had better : 충고 (~ 하는 것이 낫다. ~ 하는 편이 좋다.)

 

3-2 레벨 업~!!!

 

A. 내가 친구에게 "You had batter go there"이라고 충고했는데 그 친구가 가지 않았을 때 나와 그친구 입장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1) 내 입장 :  아쉬움, 안타까운 감정

   2) 친구입장 : 나중에 반드시 후회함

B. "ought to"와 "had better"중에 어느쪽이 친구간에 좀더 심적으로 잘되었으면 하는 말을 완곡하게 표현한 말일까요?   had better

 

C. 어느쪽이 생활 가운데 더 많이 사용될까요?

   had better> ought to

  - ought to : 가벼운 명령/윗사람 → 아랫사람에게 사용(한정적)

  - had better : 인건적인 관계에 중점/ 윗사람 → 아랫 사람에게  사용

약간 had better느낌이 엄마들이 공부안하면 후회한다 그런 느낌이 강하다.

you had better study very hard처럼 말이다.

 

조동사는 의미보다는 뉘앙스를 파악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Posted by 글작곡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