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영문법 8강  - 사역동사 (Causative Verb)

 

지난 시간 저희가 지각동사에 대해 알아봤죠? 생명유지라는 개념을 갖는 동사를 지각동사라고 하는데요. 목적어로는 to부정사를 취하지 않고 동사원형을 사용한다는 것 기억나시죠? 관련된 내용은 아래 링크 확인하세요.

 

2018/03/05 - [한일영문법] - 한일영문법 7강 정리 - 지각동사 (Perception Verb)

 

오늘은 사역동사에 대해 알아볼게요. 사역이라는 말은 '사람을 부리어 일을 시킴. 또는 시킴을 받아 어떤 작업을 함'을 의미합니다. 영어권 나라는 우리나라와 달리 노동을 신성시 여긴답니다. 따라서 이렇게 조금의 특징이 있는 동사에 이름을 붙이지 않을 영어권 나라가 아니겠죠? 

영어권에서 사역동사는 '시키다, 하게 만들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대표적인 동사가 바로 make(만들다, 시키다), have(먹다, 가지다, 시키다). let(시키다, 놔두다)입니다.

 

1 .사역동사를 강조 또는 특별 취급하는 방법

   > 지각동사와 동일하게 문법적으로 틀리는 방법이다.

   > 내용에 손상이 최소화 되는 단어를 뺀다

 

2. 사역동사의 문법적인 결론, 문법적 이론

   > 사역동사는 to부정사와 함께 쓰지 않습니다.

   > 사역동사는 동상원형을 쓴다.

   > 사역동사는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사용하지 않는다.

   > 사역동사는 동사원형을 목적어로 취한다.

 

ex)

1. She made him go

2. I have them drive

3. We let Jenny finish her speech

(3문장은 옳은 문장은 아니죠? 밑에서 이야기 합니다)

 

3. 사역동사 1차 정리

   사역동사는 노동을 말하는 단어입니다. 일반동사와 구별해서 강조한다. 그 방법은 to부정사'~는 것'을 사용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사역동사는 to부정사와 함께 쓰지 않고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지 않고 동사원형을 취한다.

 

4. Breake News 

- 사역동사는 사람에게 사용하지 않습니다. 주종의 관계를 가지고 있고, 강압에 의한 지시를 내려지는 느낌인데 현대 들어와서는 아무리 갑을 관계라고 하여도 평등을 추구하기에 지위나 주종의 관계가 나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Jake made Cindy type the paper in class

Jake made Edwin clean the room

I have the students study after class

The studnets have us stay in the class

My father let me drive (아버지가 아들한테 시킬 수 있지 않을까요?)

I let him use the phone 


5. 따라서 사람에게 사역동사를 사용할 때는 대체되는 단어가 있습니다.

make, have → ask + to

let            → allow + to

사역동사에서 일반동사로 바뀌면서 to부정사가 다시 붙습니다. 예제를 한번 볼까요? 좀 전에 했던 예제로 볼게요.

ex)

1. Jake made Cindy type the paper.

 > Jake asked Cindy to type the paper.

2. Jake made Edwin clean the room.

 > Jake asked Edwin to clean ther room.

3. I have the students study after this class.

 > I asked the students to study afther this class.

 

6. 2차 정리

 - 사역동사의 의미는 노동의 의미(일을 시키고 받는 의미)

 - 따라서 특별 취급 (지각동사 같이 취급)

             문법적으로 틀리는 방법을 취하고

             to 부정사를 뺀다

 - 즉, 사역동사는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지 않는다.

        사역동사는 동사원형을 목적어로 취한다

BUT,

현대사회에서는 평등을 강조하기에 주동의 관계, 상하관계를 나타나기에 대용단어를 쓴다. 

make, have → ask + to

let            → allow + to

 

따라서 사역동사를 사용할 때는 동사원형을 쓰지만 일반동사인 ask나 allow는 다시 to부정사가 목적어로 붙는다는 것 잊지 마세요.

 

7. 문장화

Jake asked Cindy to type the paper.

Jake asked Edwin to clean ther room.

I asked the students to study afther this class.

king made normal people kill?

winner have losing peple kneel. 

Posted by 글작곡가

한국에서 유일한 기초영문법 7강 - 지각동사 (Perception Verb)

 

지난주까지 to부정사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오늘은 지각동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각 동사도 to부정사와 전혀 관련 없지 않다는 사실!!!!

 

우리가 사용하는 동사는 엄청 많습니다. 가다, 먹다, 쓰다, 가져가다. 여행하다, 채팅하다, 게임하다... 등 그런데 그 중에서도 감각으로 깨닫고 지각할 수 있게 해주는 동사 지각동사라고 합니다. 좀 더 보태면 생명유지에 기능을 가지고 있는 동사이기도 하죠. 이런 지각동사라는 것을 그들을 중요하게 생각하기 조금 다른 방식(약간의 특징이 있어도 이름을 붙이고 구별하는 영어권 사람들의 문화)으로 사용합니다. 그 방식을 알기에 앞서 그들이 특별하게 구별하거나 강조하고 싶을 때 하는 언어 습관을 확인해 볼게요.

한일영문법 7강 지각동사

 

1. 영어를 강조하거나 특별하게 구별하는 방법

  1) 강조 하고 싶은 단어를 앞으로 보낸다.

     a. 영어는 숫자를 강조한다. ex) three cokes, two people

     b. 영어는 문법을 강조한다. ex) Will you...?, Where do you....?, You don't....

  2) 과감하게 문법을 틀린다.

     a. you should go out   >  Go out

     b. You should come here on time   >  Come here on time

     c. You call him   >  Call him

     d. If I am(was) you,   >   If I were you,

     e. If that is(was) mine    >   If I that were mine.

 

2. 지각동사도 다음과 같이 문장을 만든다

문법을 틀리는 방법을 선택하고 그 중 한 단어를 뺀다. 다만 단어중 내용상 데미지가 제일 작은 단어를 뺀다.

 

ex) She heard him to sing   > She heard him sing

     We saw Jenny to run down the street  > We saw Janny run down the street 

 

3. 지각동사라는 것을 알리기 위해 과감하게 문법을 틀립니다. 문법이 틀리는 것 만큼 강하게 눈에 띄는 게 없기 때문입니다. 결국 강조할 내용을 앞으로 보내거나 강종하기 위해 문법을 틀리는 방법 중 지각동사는 문법을 틀리는 방법을 택하게 됩니다.

 

4. 문법적인 정리

- 지각동사는 'to부정사'와 함께 쓰지 않습니다.

  > 지각동사는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지 않습니다.

- 지각동사는 항상 동사원형과 같이 씁니다.

  > 지각동사는 동사원형을 목적어로 취합니다.

※ 지각동사는 생명유지의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동사(see, heard, smell, feel)를 말하며 문법적으로 틀리도록 to를 함께 사용하지 않는다.

 

5. 문장화

1. She heard him shout.

2. We saw Jake dance on the the stage.

3. Did you see him go out?

4. i felt somthing touch me.

5. I look at them swim

6. I listened to them talk. 

Posted by 글작곡가

안녕하세요? 오늘은 이제까지 배운 to부정사와 in order to를 문장화하여 마무리 하는 강의네요. 6강 이후에는 사역동사, 지각동사, 가주어 등이 나옵니다. 물론 가주어도 to부정사와 동명사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후에 또 나오는 데요. 실실적으로 11강까지 공부한 다음 1~11강 정리가 필요할 것 같아요. 60강으로 되어 있으나 저는 몇개의 챕터로 나눠서 공부하는데요 그 첫번째 챕터가 11강까지랍니다. ^^

그럼 배운 것을 문장화 한번 봐볼까요? 저는 조금씩 바꿨습니다. ^^

   A. "to부정사" (~는 것)가 들어가는 생활영어

1. I want to buy batteries.

2. You need to order something

3. Don't pretend to understand.

4. Don't pretend not to understand.

5. Don't pretend to know.

6. Don't pretend not to know.

7. Don't pretend to be wise.

8. We decided to go to the BTS concert.

9. You promised to meet me at 7.

10. I hasitated to answer.

11. You should remember to pay before due date.

12. I prepared to leave for the day.(나는 퇴근준비 했습니다.란 뜻도 있음)

13. I love to go there. .

14. I like to go there.

15. she asked me to go out.

16. We were planning to have a party.

17. I hope to see you soon.

18. I forgot to call her. Darn!

19. Do you want to go to the seafood restanrant?

20. Do you want to go to club?

21. Do you want to go to Korea?

22. Do you want to go put together?

23. Do tou want to go Karaoke?

24. What do you want to have?

25. What do tou want to eat?

26. I would like to ask a few things.

 

    B. (In order) to (~하기 위해서)가 들어가는 생활영어

1. People waited to see Dahyun.

2. I studied so hard in order to get a scholarship.(강조) 

3. I studied so hard to get a scolarship.(강조 no)

4. In order to get there early, I drove 9 hours a day.

5. I went out in order to see what was happening.

6. well, i came here in order to apologize.

7. You need to find a place in order to relax.

8. I need your number in order to keep in touch with you.

 

오늘의 키포인트

- 당신은 채식주의자입니까? 아니요. 한국입니다.

- 당신의 스테이크를 어떻게 해드릴까요? 최선을 해 해주세요~

중간중간에 에피소드는 왜이렇게 기억이 잘나는지 모르겠네요. ㅋㅋㅋ

 

간접적으로 to부정사와 in order to는 11강 전에도 나오고 많이 나옵니다. 또한 문장속에 계속 나오기도 하지만 직접적인 강의는 여기서 끝납니다. 이렇게 문장으로 기억해 두는 게 훨씬 나은듯합니다. 11강에 가주어 하면서 동명사도 나오니 가주어 포함하여 배운 용법을 반복 암기 체화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Posted by 글작곡가

지금까지 총 4강을 진행했습니다. 이제까지 크게 to와 동명사에 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동명사의 경우는 to부정사의 '~는 것'과 같은 의미지만, to부정사는 전치사 뒤에 쓰지 못한다는 단점으로 동명사 ing를 사용했습니다. 이게 다였습니다. 그러나 to에는 여러가지 내용이 있었죠. 조금 복습해본다면,

1. to에 대해 복습해 봅시다.

  a. '~하기 위하여'를 정식(formal)으로 표현한 것은?  

     > in order to

  b. '~하기 위하여'를 약식(casual)으로 표현한 것은?

     > to

  c. in order to에서 왜 in order를 빼고 to만 쓸까?

     > 영어는 반복을 싫어한다.

  d. to(~하기 위하여)와 to(~는 것)을 구별하는 방법은?

    > 1) 해석을 해본다. 2) to이하를 지웠을 때 문법이 맞으면 in order to

  e. 문장 속에서 in order to가 자주 쓰이는 위치는?

    > 문장 맨 앞/뒤 to이하를 빼도 본래 문장은 살아난다.

  f. to의 세가지 의미

    1) '~는 것' to부정사

        I want to call you(전화하는 것)

    2) '~하기 위하여' (in order to)

        I went to see you(보기 위해)

    3) '~에, ~로[방향]' (전치사)

        I went to the movies theater(극장에)

   > 세가지의 to는 해석과 위치를 통해 구별이 가능합니다.

 

2. 세가지 종류의 to를 한 문장에 쓰면 벌어지는 현상

   문장이 길어진다, 내용이 자세하다. 문장의 레벨이 높아진다.

   ex) We decided to visit Death Valley to experience the high temperature on the way to Las Vegas. (~는 것, ~하기 위하여, ~로)

tip. 생활영어에서는 꼭 필요하 to 한두가지만 씁니다.

 

3. 문장만들기

I liked to go to Disneyland to see the fireworks

We tried to study English to take the test

He agreed to come to the meeting to help us

 

4. 정리

 - to의 세가지의 종류

   1) '~는 것'[to부정사], '~하기 위하여'[in order to], '~에, ~로'[전치사]

   2) 이 세가지 종류의 to를 한문장에 쓸 수 있다.

   3)문장이 길어지고 내용이 자세해져서 문장레벨이 높아진다.

 

5. 문장화

We decided to visit Death Valley to experience the high temperature on the way to LasVegas

I want to call you.

I wen to see you.

I went to the movies theater.

I liked to go to Disneyland to see the fireworks.

We tried to study English to take the test.

He agreed to come to the meeting to help us.

 

Posted by 글작곡가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to부정사와 동명사에 알아봤습니다. 오늘은 to에 3가지 용법 중에 하나인 in order to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in order to [~하기 위하여]

   study        +  하기 위하여   → in order to study 공부하기 위하여

   excercise    + 하기 위하여   → in order to exercise 운동하기 위하여

   love          + 하기 위하여   → in order to love 사랑하기 위하여

기존에 to는 전치사로써 '~에, ~로', to부정사에서의 '~는 것', in order to로 '~하기 위하여'라는 3가지용법으로 정리됩니다. 이번 강의는 to부정사와의 관계를 좀 더 살펴 볼게요.

그에 앞서 in order to는 반복을 싫어 하기에 앞에 in order만 삭제하고 to만 사용합니다. 아래 예시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I woke up at six in order to go to work. I took the subway in order to avoid the unnecessary traffic. i went up to the office in order to call my fridend. I checked my email in order to see the schedule. I went down the faculty room in order to make some copies, and I came in the class in order to teach. Now I am teaching this class in order to make my students really happy.

 

I woke up at six to go to work. I took the subway to avoid the unnecessary traffic. i went up to the office to call my fridend. I checked my email to see the schedule. I went down the faculty room to make some copies, and I came in the class to teach. Now I am teaching this class to make my students really happy.

 

자연스럽게인가? 너무 to가 많이 들어가 과연 자연스러운가 싶다. 물론 to를 사용하는 강의이기에 그렇다고 본다.

 

2.

to change(~는 것)

to change(~하기 위하여)
→단지 두 단어를 봐서는 '는것'또는 '~하기 위하여' 중 어느 경우에 해당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주변상황 즉 문장을 모두 봐야 구별이 가능합니다.

 

3. 영어는 반복을 싫어 한다. 따라서 in order to를 to로 줄인다.

ex) I took a sit behind the tree in order to avoid people's eyes

  = I took a sit behind the tree to avoid people's eyes.

 

4. in order to 와 to부정사의 구별방법

   A. 해석을 통해 알 수 있다.

      1) I bought a ticket to see a movie

         (나는 영화를 보기 위하여 티켓을 샀습니다.)

      2) To see a movie, I bought a ticket

         (영화를 보기 위하여 티켓을 샀습니다.)

      3) To see a movie costs money.

         (영화 보는 것은 돈이 듭니다.)

      4) I like to see a movie

         (나는 영화 보는 것을 좋아합니다.)

 

   B. 위치를 보면 알 수 있다.(to이하를 지워보자)

      1) I bought a ticket to see a movie

         문법(o), 내용 전달(o)

      2) To see a movie, I bought a ticket

         문법(o), 내용전달(o)

      3) To see a movie costs money.

         문법(x), 내용전달(x)

      4) I like to see a movie

         문법(x), 내용전달(x)

 

따라서, in order to(~하기 위하여)와 to(~는 것)의 정리

1) in order to (~하기 위하여)

  > in order to이하는 빼도 문장(문법)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 문법적으로 자유롭다(문장의 앞, 뒤 모두 올 수 있다.)

  > 해석이 가능하다.

2) to(~는 것)

  > to 이하를 빼면 문법적인 실수가 나타난다.

  > 문법적 제약도 생기고 해석도 되지 않는다. (주어와 목적로만 쓸수 있다.)

 

5. in order to(~하기 위하여)풀로 쓸때와 to~하기 위하여)쓰는 경우의 차이

평상시에는 → to

정식, 공손, 격식, 강조의 의미 → in order to

 

casual) I came here to see Dr. Lee

formal) I came here in order to Dr. Lee

 

6. 정리

in order to (하기 위하여)[영어는 반복을 싫어하기 때문에  in order 삭제]

to(~는 것)와 구별이 안된다 따라서 구별방법은 해석과 위치를 통해 구별

1. in order to 이하는 빼도 문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2. to(~는 것) 이하느 빼면 문법적인 실수가 나타난다.

3. 정식, 공손, 강조 의미를 나타날 때 in oder to 풀로 쓴다.

 

7. 문장화

I took a sit behind the tree to avoid people's eyes.

I bought a ticket to see a movie

I like to see a movie

I came here to see Dr. Lee

I came here in order to see Dr. Lee

Posted by 글작곡가

지난 시간에는 to 부정사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to부정사를 사용할 경우 전치사 뒤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참고하세요

 

2017/12/22 - [분류 전체보기] - 한일영문법 2강 - 반드시 알아야 할 to 부정사 쓰임

 

오늘은 전치사 뒤에 to부정사를 사용할 수 없을 때 어떻게 대처햐야 하는지 알아볼게요. 지난주 2강에서는 한일선생님이 '동명사'를 거론하지 않았는데 그냥 제가 말해 버렸습니다. ^^

 

 

1. to부정사사가 가진 문제점은 제일 큰 문제점은 바로 전치사 뒤에 쓸 수 없다는 것이었어요. 3강에서도 예문을 통해 진행합니다.

 

ex) we have a problem in to like him(x)

     we object to to go(x)

위에 예시는 명사 동사 명사 전치사 명사순으로 배열된 완벽한 평서문 같지만 in, to뒤에 명사가 와야 하는데 to부정사 to가 오게 되어 전치사가 반복 됩니다. 영어는 반복을 싫어하기 때문에 대신 ing를 사용합니다. 이것이 동명사라고 합니다. to부정사에서 to를 빼면 동사만 남게 되어 한 문장에 동사가 2개가 되어 문법적으로 틀립니다. 따라서 동사를 명사로 바꿔주는 것이 바로 동명사입니다. 뜻은 to부정사와 같은 '~는 것'의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2. 동명사가 만들어진 원인

- to부정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이다.

to부정사는 전치사 뒤에 사용할 수 없다는 가장 큰 이유와 주어자리는 항상 짧고 간단해야하나, to부정사를 사용하면 무조건 2 단어 이상으로 복잡해진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 해결 방법으로 동명사를 ing를 사용하게 되었다.

 

- 예제

  To study English is important

→ Studying English is important

  To eat food regularly is necessary

→ Eating food reaularly is necessary

 

- 여기서잠깐>

1) 주어자리에는 동명사가 많을까? to부정사가 많을까?

 → 쉽고 간단한 동명사를 사용한다.

2) 그럼 to부정사는 왜 쓸까?

 → 주어를 가종학 기 위해(to부정사 강조용법)

To exercise everyday is important   (강조한 주어)

→ exercising everyday is important (평범한 문장)

 

3. 잘못된 to부정사를 동명사로 바꾸기

I am looking forward to to meet you.

→ I am looking forwad to meeting you.

 

We object to to go there.

→ We object to going there.

 

She is interested in to study Korean history.

→ She is interested in studying Korean history.

 

- Tip.

ing는 현재분사로서의 '~하는'이라는 현재분사의 뜻과 '는 것'이라는 동명사의 뜻 두 가지를 갖습니다. 허나 이 강의에서 절대 잊어서는 안되는 사실은 to부정사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등장했다는 사실입니다.

 

4. 1~3강 정리를 위한 13개의 질문.

  1. to부정사의 부정사가 붙게 된 이유

  > 단어개수와 의미의 부정확하기 때문

  2. to부정사는 to는 무엇으로 번역 되는가?

  > '~는 것'

  3. to부정사를 왜 만들었나?

  > 동사를 명사처럼 쓰기에 편하고 빠르기에

  4. to부정사가 쓸 수 있는 위치는?

  > 명사 - 동사 - 명서/형용사 - 전치사 - 명사

  5. to부정사는 전치사 뒤에 못쓰는 이유?

  > to부정사는 전치사에서 건너와서 전치사 to와 같기 때문이다.

  6. 꼭 전치사 뒤에 써야 한다면 어디에 써야 하는가?

  > to부정사를 빼고 '동사+ing' 즉, 동명사를 사용한다.

  7. to부정사는 두 단점을 가지고 있다 무엇인가?

  > 1) 전치사 뒤에 사용할 수 없다. 2)주어가 두 단어로 길어지낟.

  8. 동명사가 생긴 배경은?

  > to부정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9. to부정사와 동명사의 뜻은 '~는 것'이다. 맞는가?

  > 당근입니다.

  10. to부정사와 동명사는 같은 문법일까?

  > 당근입니다. 해석과 쓰는 자리와 역할이 같아 같은 문법이랍니다.

  11. to부정사와 동명사 중 어느것이 주어로 더 많이 사용하는가? 그 이윤?

  > 동명사를 더 많이 씀 / 주어가 간단하고 쉽기 때문에.

  12. 그럼에도 불구하고 to부정사를 주어로 썼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강조하기 위해서

  13. to부정사와 동명사처럼 한쪽의 영향을 받아서 생긴 문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Package문법(=family group)

 

5. 강조와 무강조 연습하기

 - 주어가 너무 강조 됨 가볍게 바꿔보자.

    1) To persuade him is difficult

     → Persuagding him is difficult

    2) To gather the information is your job

     → gathering the information is your job

 - 주어가 가볍다 강조 한번 해볼까?

    1) Keeping the promise is basically important.

     → To keep the promise is basically important

    2) Understatnding grammar is easy and interesting

     → To understand grammar is easy and interesting

 

6. 하이퀄리티 질문

  1) to부정사에 쓸수 있는 자리는?

     > 명사 - 동사 - 명사/형용사 - 전치사 - 명사

  2) 동명사를 쓸 수 있는 자리는>

     > 명사 - 동사 - 명사/형용사 - 전치사 - 명사

7. 문법버전으로 알아보자

  - to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1)명사 - 동사 - 2)명사 - 전치사 - 3)명사

    

1) to부정사의 주격용법 2) to부정사의 목적격 용법 3) to부정사는 전치사의 목적어로 쓸 수 없다.

 

  - 동명사의 명사적 용법

     1)명사 - 동사 - 2)명사 - 전치사 - 3)명사

 

1) 동명사의 주격용법 2) 동명사의 목적격 용법 3)동명사의 전치사 목적격 용법

 

 

3강 문장으로 정리하자.

 

  To study English is important

→ studying English is important

   To eat food regularly is necessary

→ eating food reaularly is necessary

   To exercise everyday is important  

→ exercising everyday is important

    I am looking forward to to meet you.

→ I am looking forwad to meeting you. 

   We object to to go there.

→ We object to going there. 

   She is interested in to study Korean history.

→ She is interested in studying Korean history

    To persuade him is difficult

→ Persuagding him is difficult

    To gather the information is your job

 → gathering the information is your job

    Keeping the promise is basically important.

  → To keep the promise is basically important

     Understatnding grammar is easy and interesting

  → To understand grammar is easy and interesting

 

이상으로 3강 마치겠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to 부정사의 3가지 쓰임중 마지막 뜻에 대햐 알아볼게요. 감사합니다.

Posted by 글작곡가

한국에서 유일한 기초영문법 1강 - 이름 속의 비밀 to 부정사

 

저는 이 동영상을 이제 4번째 돌려보고 있습니다. 총 60강중에 30강 이후부터가 좀 훈련이 덜 된 것 같아요. 아무래도 모든 강의는 이해가 아주 잘 되고 어떻게 할 줄도 알겠지만 막 상 입밖으로 손으로 써지지 않아 블로그를 통해 정리 및 문장화 하려고 합니다. 특히 30강 이후에는 뭔가 더 열심히 하지 않을까 싶어요. 저도 배우는 입장이기에 이상한 점이나 아니다 싶은 점은 댓글 바랍니다. 용법이나 큰 맥락에서 하나가 끝나면 정리하는 시간을 또 갖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기초영문법인 이유에 대해서 말씀하시는데요. 낮은 레벨의 문법이 아닌 고급/현지문법을 아주 쉽게 배운다는 의미라고 에서 국에서 유한 기초영문법 한일영문법이라고 합니다.

 

오늘은 그 첫번째 시간으로 [~는 것] → [to 부정사]에 대해 알아봅니다. 한일영문법은 사실 문법의 용어보다는 문장을 외우라고 강조해서 처음부터 문법이름을 강요하지 않습니다. 허나 우리를 힘들게 했던 그 용법의 정확한 의미를 이해시켜 줌으로써 그동안 우리가 영어를 왜 못했는가를 깨닫게 됩니다.

 

이 to부정사의 의미를 보면 동영상에서의 설명처럼 긍정과 부정의 의미에서의 부정사가 아니라 to다음에 올수 있는 단어가 계속 생기기기에 부정확하고 개수 무수힌 많기에 이 역시도 부정확하단 의미에서 부정사라고 합니다. 영어명은 to infinitive verb 입니다. infinitive가 무한대의, 끝이 없다는 형용사입니다.

 

즉 to 부정사 동사는 무수히 많고, 많아 질 것(스타하다. 배그하다)이라 부정확하다는 뜻에서의 to 부정사라고 합니다. 아시아에서 문법을 최초로 소개한 나라가 일본이기에 일본에서 부정사라는 말이 오다보니 우리로서는 긍정과 부정이라는 데에서 오는 혼동이 생길 수 밖에 없었다고 합니다 . 물론 저도 그렇게 알고 있었죠. 그래서 부정을 왜 안하지 했었습니다. ^^

 

to 부정사를 몇개 볼까요?

to eat(먹는것), to go(가는것), to sleep(자는 것), to forgive(용서 받는것), to love(사랑하는 것), to ride(타는 것), to boil(끓이는 것)..... 무수히 많습니다. 모두 다 우리 나라의 '~는 것'이라고 끝납니다.

 

to 다음에는 동사원형이 와야 하는 것 잊지 많아야겠죠.

 

정리.

 

1. 한국말의 '~는 것'과 가장 어울리는 영어 표현은 'to + 동사원형(to 부정사)'입니다.

 

2. to를 만든 이유는 ,

   1)동사를 명사처럼 사용하기 위해서

   2)동사를 명사화함(단, 명사는 아님)

 

3. 예제

   to go - 가는 것to smile

   to swim - 미소 짓는 것

   to take a picture - 사진 찍는 것

   to love him - 그를 사랑하는 것

 

4. 문장화

  1) I dont like to go there

  2) it's too difficult to ride bike

  3) To boil water is dangerours

 

 다음시간에는 좀더 짧고 간결하게 정리해 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Posted by 글작곡가

얼마전부터 영어공부를 다시 시작했습니다. 4년전 몇개월동안 어학연수를 다녀와도 영어초보라는 말을 할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영어공부에 대한 책들이 많은데 기본 문법정도의 영어문장은 외워져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회화책 외우는건 좀 나중으로 하고 제일 먼저 기본 문법을 외울 수 있는 문법강의로 나가야 할 것 같아요. 제일 괜찮다고 생각하는 한일영문법 동영상으로 공부하기로 했습니다.


총 60강이고, 40분 정도로 된 강의로 어렵지 않을까 싶지만 점심시간에 혼자 밥 먹는 경우가 많으니 그때 켜놓고 들으면 되지 않을까 합니다. 매일 듣는다면 3달 정도 걸린다 치면 주말에는 들은 내용을 영문장으로 바꾸어 블로그로 정리해 오릴 계획입니다. 잘 될지 모르겠지만 1강부터 60강까지 먼저 해보려구요. 내년 3월이 되기 전까지 정리를 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일전에 1회전 돌린 영상이고 현재 2회전 돌리고 있습니다만 1회부터 다시 영문장으로 블로그로 정리해가면서 영어 문장자체를 외워 나가야겠습니다.

사실 한일영문법을 선택한 이유는 지루하지 않고 재미있게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이번에 돌리게 되면 총 3~ 4회 정도 돌려 보지 않았나 싶습니다. 1~20강 정도는 이미 문장화하여 외워서 별무리 없습니다만 40강부터 특히 49강 부터 말로 나오기 어렵고 써지지 않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모두 술술술 써질수 있을 정도와 말할 수 있는 정도로 해 놓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야 할 것 같아요.

 

매일매일 정리해서 올리긴 쉽지 않겠지만 그래도 목표는 있어야 겠죠. 1강 1강씩 영문장 10개 정도로 해서 올릴까 합니다. 그래서 총 3개월 정도로 올리고, 주의해야 할사항도 올려 제가 알기쉽게 해두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이후 다른 방법도 강구해 봐야할 것 같아요. 사실 영어일기를 쓰고 싶었는데 피드백 받기가 싶지 않을 것 같아 먼저 이렇게 접근하는게 그나마 괜찮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Posted by 글작곡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