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는 과거분사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오늘은 그와 비슷한 현재 분사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지난 시간 배운 과거분사에 대해 복습해 보면, 과거분사는 과거동사의 부분으로 만들어진 새로운 단어(형용사)라고 하여 그 말을 좀 줄여서 '과거분사'가 됐다고 했습니다. 예를들어, 과거동사 gave는 과거분사의 모습이 given이 되죠. 과거동사일 때는 '주었다'의 과거형이지만, 과거분사로 사용될 경우 '~당한', '~된', '되어진'의 의미를 갖게 됩니다. 동사는 모두 과거분사로 만들 수 있다는 점도 잊으시면 안되겠죠.
1. 오늘은 '~하는'이라는 현재 분사에 대해 알아볼게요. 과거분사는 'ed'가 붙었다면 현재분사는 'ing'가 붙습니다. 한국어 버전으로 바꾸면
[닫다, 요리하다, 청소하다, 밀다.] → [닫는, 요리하는, 청소하는, 미는]으로 바뀌죠. 영어 버전으로 바꿔보면,
close → closing : 닫는
cook → cooking : 요리하는
clean → cleaning : 청소하는
push → pushing : 미는
pull → pulling : 당기는
type → typing : 타이핑치는
move → moving : 움직이는
fly → flying : 나는
catch → catching : 잡는
meet → meeting : 만나는
이 됩니다.
1) 현재동사에 ing를 붙임으로써 '~하는' 형용사를 만듭니다. 이렇게 현재동사가 바탕이 되어서 만들어진 단어를 '현재분사'라고 합니다. 다시말 해 현재동사가 부분이 되어서 만들어진 새로운 단어(형용사)입니다. 지난 시간에 배운 과거동사를 염두해 둔다면 차이점을 분명히 알 수 있죠.
2) 그럼 여기서 과거분사와 현재분사에 대해 서술적으로 딱 한번만 정리 할게요.
현재동사 close란 단어가 없었으면 당연히 closing이라는 단어가 생기지 않았습니다. 위에서 현재동사의 ing를 붙인 것을 보면 대부분이 현재동사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현재분사가 되어도 동사의 뼈대는 남아 있습니다. 따라서 이것을 현재분사라고합니다.
3) 현재동사가 없었다면 현재분사는 없었습니다. 또한 현재분사는 '~하는'이라는 형용사로 쓰이며, 형용사의 한 종류입니다. 과거분사는 '~당한(~ed)', 현재분사는 '~하는(~ing)의 의미가 담깁니다. 현재분사나 과거분사 모두 형용사이기에 당연히 형용사 위치에 씁니다. 모든 현재동사는 현재분사가 있으며, 현재분사를 만든 이유 역시 과거동사와 같이 동사를 형용사로 만드는 가장 빠른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과거분사때도 했던것 기억 나시죠?
2. 여기서 질문~
1) 분사의 종류는 몇개일까?
- 2개. 과거분사와 현재분사 뿐입니다.
2) 과거분사와 현재분사가 이름이 붙게 된 이유는?
- 과거분사 : 과거동사의 부분으로 만들어진 새로운 단어(형용사)
- 현재분사 : 현재동사가 부분이 되어서 만들어진 새로운 단어(형용사)
3) 동사를 50개 알고 있다면 분사공부를 하고 나면 알고 있는 단어는 얼마나 될까요?
- 150개 (동사, 현재분사, 과거분사)
4) 분사는 어떻게 쓰이는가?
- 형용사와 같이 명사를 꾸며주며 형용사 자리에 위치한다.
5) 동사 실력이 분사실력이라고 할 수 있는가?
- 그렇다. 그런데 분사는 알겠는데 잘 못 쓰는게 함정이다.
사실 학창시절에는 현재분사, 과거분사를 할 때 이미 문법을 놓은 상태여서 무슨 권법 이름이나, 절 이름이지 싶었습니다. 그런데 분사가 이렇게 형용사 역할을 한다는게 참 신기합니. 그런데 이 분사를 잘 구사하면 정말 한단계 영어실력을 올릴 수 있는 방법인데 불구하고 잘 사용이 안되고, 꼭 형용사만 찾아서 명사를 꾸밀려고 합니다.
현재분사, 과거분사에 대한 문장을 기존의 형용사를 빼고 만든다면 훨씬 다양한 문장을 구성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영어 훈련 > 한일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일 기초영문법 38 - ~당하다 라는 말은 이렇게 만들어졌답니다 (0) | 2018.09.25 |
---|---|
한일기초영문법 37강 - be동사가 과연 쉬울까 (0) | 2018.09.12 |
한일기초영문법 33강 - 과거분사에 대한 한을 풉시다. (0) | 2018.08.20 |
한일기초 영문법 32 - 조동사 현장에서 이런 감각으로 쓰세요. (0) | 2018.08.17 |
한일기초영문법 31 - 역시 재미있는 will, would, used to, be supposed to, be to, shall (0) | 2018.08.15 |